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한국 문학의 흐름 ㅡ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7건 조회 1,993회 작성일 2007-02-02 05:57

본문

한국 문학의 흐름 ㅡ 2 <옮김>
 
 
※ 현재 전하는 고려속요 작품 작품명
출전
형식
내용
비고

동동(動動)
악학궤범
전13연
분절체
월별로 그 달의 자연 경물이나 행사에 따라 남녀 사이의 애정을 읊은 달거리 노래
월령체(달거리) 노래의 효시

처용가
(處容歌)
악학궤범
악장가사
비연시
향가인 '처용가'를 부연한 축사(逐邪)의 노래
희곡적으로 구성됨

청산별곡
(靑山別曲)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전8연
분절체
현실 도피적인 생활상과 실연의 슬픔이 담긴 노래
<시용향악보>에는 제1연만 실려 있음

가시리
(歸乎曲)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전4연
분절체
연인과의 이별을 안타까워하는 노래
<시용향악보>에는 '귀호곡'으로 1연만 실림

서경별곡
(西京別曲)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전3연
분절체
대동강을 배경으로 남녀간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함
'가시리'와는 달리 이별의 정한을 직설적으로 노래

정석가
(鄭石歌)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전6연
분절체
임금(또는 임)의 만수무강(萬壽無疆)을 축원한 노래
불가능한 상황 설정으로 만수무강의 송축

사모곡
(思母曲)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비연시
부모의 사랑을 낫과 호미에 비유한 노래
곡조명은 '엇노리'
'목주가'의 발전으로 봄

쌍화점
(雙花店)
악장가사
전4연
남녀간의 적나라한 애정을 표현한 유녀(遊女)의 노래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이상곡
(履霜曲)
악장가사
전5연
인간의 유한성을 전제로 한 남녀 간의 애정을 노래함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만전춘
(滿殿春)
악장가사
전5연
남녀 간의 애정을 대담 솔직하게 읊은 사랑의 노래
속요 중 시조와 가장 유사
남녀상열지사

유구곡
(維鳩曲)
시용향악보
비연시
비둘기에 의탁하여 연정을 풍자적으로 읊은 노래
'벌곡조(伐谷鳥)'와 관련됨

상저가
(相杵歌)
시용향악보
비연시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는 노동요(勞動謠)
백결 선생의 '대악'의 후신

정과정곡
(鄭瓜亭曲)
악학궤범
비연시
귀양살이의 억울함과 연군(戀君)의 정을 노래함
10구체 향가의 잔영
고려 의종 시 정서가 지음

도이장가
(悼二將歌)
평산신씨
장절공유사
8구체
2연
개국 공신 김낙과 신숭겸 두 장군의 공덕을 예종이 찬양한 노래
향찰 표기. 10구체 향가의 잔영으로 보기도 함





※ 경기체가와 고려 속요의 비교


구분
경기체가
고려가요

차이점
귀족 문학
평민 문학

문자 기록
구전되다가 한글로 기록

조선시대에 새로운 이념을 구현하는 노래로 계승(경기체가체 악장)
조선시대에 남녀상열지사로 비판의 대상이 됨

공통점
분연체, 분절체 형식
4음보의 율격




< 서사 문학 >



1. 서사 문학의 전개

(1) 고려 시대의 서사 문학은 구비로 전승되던 것을 문자로 기록한 설화와 고려 시대에 와서 창작된 패관 문학이나 가전체 문학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2) 고려 중기에 패관들이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를 한문으로 기록한 것을 패관 문학이라 하는데, 이것이 한층 발달하여 사물을 의인화하여 계세징인(戒世懲人)을 목적으로 하는 가전이 지어졌다.

(3) 구비 전승되어 오던 여러 가지 이야기들이 문헌에 수록되었는데, 대표적인 문헌으로는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遣事)>와 성현(成俱)의 <용재총화(傭齋叢話)> 등이 있다.



2. 패관 문학(稗官文學)

(1) 민간의 가담(街談)과 항설(巷說) 등을 토대로 한 문학이다.

(2) 패관은 항간에 떠도는 소문들을 수집, 기록하는 벼슬이다.

(3) 한문학이 융성하던 고종 때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4) 후대 소설의 모태가 되었다.

(5) 이인로의 <파한집(破關集)>, 최자의 <보한집(補開集)>, 이제현의 <역옹패설(標翁稗說)>, 이규보의 <백운소설> 등이 전한다.



3. 가전(假傳)

(1) 교훈을 목적으로 사람의 일생을 압축, 서술한 교술 문학이다.

(2) 물건을 의인화하여 경계심을 일깨워 줄 목적으로 지어졌다.

(3) 어떤 인물의 가치 있는 행적을 기록한, 이숭인(李崇仁)의 배열부전(裵烈婦博), 이곡(李穀)의 '절부 조씨전'도 이에 속한다.

(4) 패관 문학이 개인의 창작이 아님에 비하여, 가전은 개인의 창작물이어서 소설에 한 발짝 접근된 형태 이다.

(5) 임춘(林椿)의 국순전, 공방전(孔方傳), 이규보(李奎報)의 국선생전(適先生傳),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美傳), 이곡(李穀)의 죽부인전(竹夫人傳), 이첨(李薦)의 저생전(橋生傳), 석식영암(釋息影腐)의 정시자전(丁侍者傳) 등이 있다.





3)조선전기의 문학

< 문학사 개관 >

1. 조선 전기 문학의 개관

조선 전기의 문학이란, 조선조의 문학을 전, 후기로 나누었을 때, 조선 건국으로부터 임진란까지의 약 200년 간의 문학을 이른다. 조선 시대의 문학을 전 , 후기로 나누는 것은, 임진란을 경계로 하여 그 전후의 문학이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2. 조선 전기 문학의 형성 배경

이 태조가 조선을 건국(建國)하여, 고려 말의 문란했던 기강을 바로잡아 민심을 수습하고 관료 체제(官僚體制)를 확립하였다. 그리고 15세기 말엽부터 16세기 중엽에 이르는 동안 분쟁과 사화(士祿)로 인한 정국의 불안과 민심의 소요는 임진란을 불러들이고 말았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문학도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3. 조선 전기 문학사

조선 전기의 문학은 엄밀히 말하여 훈민정음 창제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전에도 우리말이 있었으나 고유한 문자가 없었으므로, 한자를 빌려서 문자 생활을 하고 문학 활동을 할 수밖에 없었다. 한글 사용을 시험삼아 제작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조선의 창업을 노래한 것으로 악장(樂章) 형식 노래의 대표작이며, 세종(世宗)이 친히 지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은 석가(釋逃)의 공덕(孔德)을 찬양한 노래로, 문학적 가치보다는 어학적 가치에 더욱 의의가 있다.

훈민정음이 차차 보급되자, 그 전까지 한문드로 전하지던 수많은 문헌을 다투어 번역(飜譯)하게 되어 많은 불경류의 번역 사업과 아울러 번역 문학이 성행하였으니, '사서(四書)'를 비롯한 유서(儒書)와, '능엄경(橋嚴經)'을 비롯한 불전(佛典),그리고 두시(杜誇)를 비롯한 문학서의 번역 사업이 그것이다.

그리고 짧은 시조 같은 단가 형식으로는 복잡한 작가의 정서를 표현하기에는 부족하였는지, 3. 4조 또는 4. 4조로 연속되는 '가사(歌辭)'가 발생하게 되었다. 성종 때 지어진 정극인(T克仁)의 '상춘곡(賞春曲)'은 가사 형식을 갖추고 있다.



소설(小說) 문학을 보면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금오신화(金黎新話)'란 작품이 있다. '금오신화'는 한국 고소설의 출발을 보여 주는 작품으로, 민중 사이에서 구전되던 설화, 고려의 패관 문학, 가전 등의 서사적 전통 위에 '전등신화(努燈新諸)'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비록 한문으로 지어졌고, 명나라 구우(瞿佑)의 '전등신화'를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소설 형식을 갖춘 작품으로는 효시가 되는 것으로, 현재 남아 있는 5편은 순수한 향토색을 지닌 우수한 창작품이다.



또한, (악학궤범(樂學軌範)) , (악장가사(樂章歌詞))와 같은 가집(歌集)을 편찬하여 구전되어오던 작품을 정착시켰으며, 고려 시대에 발생했던 시조 문학은 조선조에 들어와 더욱 활기를 띠어 가사와 더불어 조선 시가 문학의 대표적 장르가 되었다.




4. 조선 전기 문학의 특징
(1) 훈민정음 창제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국문학의 출발을 가져왔으며, 문자 생활의 일대 변혁을 가져왔다.

(2) 형식면에서는 운문 문학(韻文文學)이 주류를 이루어 시조 . 악장 . 경기체가 . 가사 등이 지어졌고, 내용면에서는 유교적인 이념과 상류 사회의 생활이 중심이 되었다.

(3) 훈민정음 창제에 힘입은 번역 사업의 전개는 지식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4) 문화의 향유 계급은 주로 상류층인 귀족 양반들이었으며, 평민의 참여는 거의 없었다.

(5) 설화 문학의 발전과 중국 소설의 영향으로 소설이 발생하여 산문 문학이 태동하였다.

(6) 15세기 말엽 당쟁이 격화됨에 따라, 벼슬을 떠난 사람들이 산야에 묻혀 자연과 더불어 살게 됨으로써 자연 문학이 발생하였다.

(7) 사상적으로는 성리학이 발달하였으며, 문학 작품에 있어서도 유교적이며 철학적인 사상이 형상화되었다.



< 시가 문학 >

1. 악장(樂章)

(1) 조선 초기의 송축가를 이르는 말이다.

(2) 악장은 원래 종묘 제향(宗廟祭享) 때나 연락(宴樂) 때에 쓰이던 가사를 이르는 말이다.

(3) 신흥 왕조에 대한 아유(阿諛)의 성격을 띠었으며, 과장된 찬양과 송축으로 일관되어 있어 건국초에 유행하다가 사라졌다.

(4) 작자는 주로 개국 공신인 유학자들이 어서 일종의 귀족 문학이었다.

(5) 주요 작품에 '용비어천가'와 '월인천강지곡' 등이 있다.



2. 가사(歌辭)

(1) 고려 속요와 경기체가에서 발전한 것으로 추정한다.

(2) 현실적으로 설득적인 유교 이념을 표현하는 데 가장 알맞은 형태로 급속히 발전하였다.

(3) 4음보의 연속체로 행수에 제한이 없다

(4) 정극인의 '상춘곡'에서 시작하여, 정철의 작품에 이르러 절정을 이룬다.

(5) 주요 작품으로 '상춘곡', '면앙정가', '성산별곡',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이 있다.



3. 시조(時調)

(1) 고려 말에 완성된 시조는 조선 시대에 들어와 유학자들의 검소, 담백한 정서 표현에 알맞아 크게 발전하였다.

(2) 조선 초기에는 회고가(懷古歌), 절의가(節義歌) 등이 지어졌고,그 뒤로는 도덕가(道德歌), 한정가(開情歌), 강호가(江湖歌) 등이 지어졌다.

(3) 단시조(單時調)로 짓던 시조를 여러 수를 묶어 한 주제를 나타내는 연시조(連時調)도 짓게 되었다.

(4) 16세기에 들어와 송순, 황진이 등에 의하여 문학성이 심화되었고, 정철도 뛰어 난 시조 작품을 창작하였다.

(5) 유학자들의 작품이 관념적인 경향으로 흐른 데 대하여, 기녀들의 작품은 고독과 한(恨)에 젖은 정서를 정교하고도 아름답게 표현하였다.



4. 한시(漢詩)

(1) 사장파(詞章派)와 도학파(道學派)로 나뉘어 있다.

(2) 사장파는 서거정, 성렬, 남곤, 도학파는 길재, 김종직, 조광조 등에 의해 주도되었다.

(3) 선조 무렵에 송시풍(宋詩風)에서 당시풍(唐詩風)으로 일대 전환이 일어났다.



< 서사 문학 >

1. 고대 소설

(1) 패관 문학과 가전의 발전으로 소설의 바탕이 잡힌데다가 명나라에서 들어온 소설의 영향을 받음으로써 한문 소설이 발생하였다.

(2) 가전에 임제의 '수성지(愁城誌)', 몽유록에 임제의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이 있다.

(3) 고대 소설은 설화적인 단순성을 지양하고 소설의 조건인 허구성을 갖춘 것으로, 최초의 작품은 김시습의 '금오신화'이다.

(4) 한문 소설은 전기적(傳奇的)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다.

※ 금오신화 : 김시습이 지은 최초의 한문 소설이다.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의 5편으로 구성 되어 있다.



2. 수필. 비평 (隨筆. 批評)

(1) 고대 수필과 평론은 독자적 문학 장르로서의 인식을 가지고 출발한 것은 아니므로 장르 의식에 따른 격식이 제대로 갖춰진 것은 아니다.

(2) 조선 전기의 수필은 더욱 폭이 넓어져, 설화 . 전기 . 야담(野談), 시화(詩話), 견문, 기행, 일기, 신변 잡기(身邊雜記) 등 다양한 내용을 서술하게 되었다.

(3) 조선 전기의 수필은 주로 패관 문학집, 시화집, 개인 문집에 수록되어 전한다.

(4) 고려 시대부터 출발한 비평 문학의 특징은 재도론(載道論), 즉 문학을 인간의 성정(性情)을 교화하는 계몽적 성격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5) 조선 전기의 비평 문학은 서거정의 동문선(東文選), 동인시화(東人詩話), 성현의 용재총화 등이 있다.



3. 번역(飜譯) -언해

(1)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이후 불교나 유교의 경전은 물론 운서(韻書), 문학서(文學書) 등이 번역되어 학습의 길잡이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문과 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 불경 번역(佛經飜譯) 작품 : 석보 상절(釋譜詳節), 월인 석보(月印釋譜)

(3) 경서(經書)의 번역 작품 : 내훈(內訓), 삼강 행실도(三綱行實圖), 번역 소학, 소학 언해 (小學諺解), 효경 언해 (孝經諺解)

(4) 문학서(文學書)의 번역 작품 .분류 두공부시 언해(分類柱工部詩諺解), 연주시격 언해(聯珠詩格諸解), 황산곡 시집 언해(黃山谷詩集諺解),백련 초해(百聯抄解) 등이 있

다.



4)조선 후기의 문학

1. 시대 개관
임진왜란(1592) 이후부터 갑오경장(1894)에 이르는 약 300년간의 문학으로, 근대 문학의 생명인 산문성과 서민 의식의 성장으로 그 특징을 규정지을 수 있다. 주자학의 완고한 학풍과 당쟁의 병폐, 그리고 임진왜란, 정유재란, 병자호란으로 이어지는 전란으로 사대부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고, 조선 왕조는 커다란 위기에 봉착하게 된다. 계속된 정치적 혼란, 경제적 피폐와 서민 의식의 성장, 實事求是의 학풍과 서학의 도래 드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근대화의 싹이 텄다. 이러한 흐름은 작품 속에 그대로 투영되어 제재와 주제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런 바탕 위에서 민중의 문학이 왕성하게 대두되어 표현은 사실적으로, 내용은 생활에 가까운 것이 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의 문학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가 시작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2. 특징
⑴ 양란 이후, 사대부의 권위가 실추되고 현실에 대한 비판과 평민 의식을 구가하는 새로운 내용이 작품 속에 투영되었다.
⑵ 비현실적, 소극적인 유교 문학에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의미를 추구하는 실학 문학으로 발전되었다.
⑶ 작품의 제재 및 주제의 변화와 함께 작가의 범위가 확대되었다.
⑷ 운문 중심에서 산문 중심의 문학으로 이행하였다.
① 평민 의식 소설, 사설 시조의 발달
② 산문 정신
③ 실학 사상
④ 여류 문학 내간체 수필, 내방 가사의 등장



3. 소설 시대의 전개
⑴ 형성
① 평민의 자각, 산문 정신, 실학 사상 등이 소설 발생의 배경이 되었다.
② 최초의 국문 소설인 홍길동전의 출현으로 소설이 발달했으며, 평민 문학으로 본격화 되었다.

⑵ 특징
① 주제 대부분이 勸善懲惡, 因果應報
② 배경

- 평민 소설 우리 나라
- 양반 소설, 궁중 소설 중국
③ 구성 일대기적, 행복한 결말, 순차적
④ 사건 비현실적(傳奇的), 우연성
⑤ 사상 유교, 도교, 불교, 무속 등
⑥ 인물 전형적, 평면적이며 작가가 직접 제시하는 방법을 사용
⑦ 문체 운문체, 문어체, 만연체



⑶ 소설의 종류
① 영웅 소설 영웅의 일대기를 근간으로 한 소설로 거의 천편일률적인 구성을 보인다. 그 유형 구조는 ㉠ 고귀한 혈통을 지니고 태어났다. ㉡ 잉태나 출생이 비정상적(道仙的)이다. ㉢ 어려서부터 비범했다. ㉣ 일찍 버려진 아이가 되거나 죽을 고비에 이르렀다. ㉤ 구출 양육자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벗어났다. ㉥ 자라서 다시 위기에 부딪혔다. ㉦ 위기를 투쟁적 으로 극복하고 승리자가 되었다. 와 같은 7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 유형은 건국 신화(주몽, 탈해 등), 國祖 전설(궁예 등), 서사 무가(바리 공주 등), 고대 영웅 소설(유충렬전, 홍길동전 등), 신소설(혈의 누, 치악산 등)에 걸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 창작 군담 소설 허구적인 주인공을 설정하여 군담과 그밖의 흥미소를 결합한 작품. [조웅전], [유충렬전] 등
㈏ 역사 군담 소설 역사상의 인물과 그의 사실적 행위를 대상을 한 작품. [임경업전], [임진록], [박씨전] 등
- 군담 소설 주인공이 전쟁을 통해 영웅적인 활약을 전개하는 소설
- 몽자류(夢字類) 소설 귀족적 영웅 계열의 소설. [구운몽], [옥루몽] 등

② 가정 소설 가정 내의 문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소설. [장화홍련전], [사씨남정기], [콩쥐팥쥐전], [창선감의록] 등

③ 대하 소설(가문 소설) 흔히 여러 편이 연작 형태를 띠고 있으며 고소설의 모든 유 형이 융합되어 복합적인 구성을 보여 주고 있으나 지배 계층 중심의 작품 세계를 보이고 있는 까닭에 고소설의 보수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궁중의 낙선재에 있어 낙선재본 소설이라고도 한다. [완월회맹연(180책)], [임화정연(139책)], [명주보월빙(100책)] 등

④ 애정 소설(염정 소설) 남녀 간의 사랑 이야기를 다룬 소설. [운영전], [영영전],[채봉감별곡] 등

⑤ 풍자 소설 동물을 의인화 한다든지 하는 수법을 사용하여 당시의 시대상을 풍자한 소설. [이춘풍전], [두껍전], [서대주전] 등

⑥ 판소리계 소설 판소리로 불려졌던 소설을 포함하여 판소리와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는 소설을 통칭하는 것으로 평민 계층의 발랄함과 진취성을 바탕에 깔고 전승되면서 끊임없이 재창작, 개작되었다. 현실적인 경험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으며 판소리가 지닌 개방적 면모와 향유층들의 다양한 관심사, 자유로운 수용 태도, 해학과 풍자를 기본으로 하는 평민 계층의 문화적 역동성 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춘향전], [흥부전], [심청전], [토끼전], [배비장전], [옹고집전] 등

⑷ 소설의 유통 과정
① 필사본 개인이 베끼는 경우와 세책방에서 영업적으로 하는 경우가 있는데 모두 유통 과정인 동시에 개작 과정이 되었다.
② 방각본 필사본에 한계를 느낀 업자들이 인기 있는 작품들을 골라 주로 목판을 이용해 상업적인 출판을 하였는데 완판본과 경판본이 대표적이다.

⑸ 이야기꾼 이야기를 잘 지어서 재미있게 口演하는 사람과 소설책을 재미있게 읽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들을 각각 講談師, 講讀師라고 했고 전기수라고 부르기도 했다.

⑹ 설화집의 편찬 유몽인의 [어유야담]을 비롯한 많은 설화집이 편찬되었다.



4. 시가 문학의 변이
사대부층을 중심으로 한 조선 전기의 시조는 유가의 이념 규범을 노래한 것과 자연 속에서 심성을 기르며 유유자적하는 삶을 그리는 것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와서는 평민 가객들의 활동이 커지고 시조창이 보편화되었으며 사설시조가 활발하게 창작되는 등의 변화가 일어났다.

⑴ 시조
① 평시조 시조 문학의 융성기에 태어나서 다음 시대의 새로운 문학이 꽃피기 직전에 시조 문학을 집대성하여 결산한 尹善道의 시조가 단연 두드러진다. 그는 시어로서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하였고 형상적인 시의 구조를 창조하였다는 점에서 시조문학사상 으뜸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으며 江湖歌道의 완성을 보았다고도 평가된다.
② 사설시조 윤선도 이후 평시조가 생경하고도 관습적인 경향으로 흐르고, 차차 문학의 조류가 서민 계층으로 옮겨가면서 시조에 산문적인 시형이 첨가되었다. 교려말 변안열의 [불굴가]로 시작된 사대부들의 향락적이고 퇴폐적인 사설시조의 전통이 이 시기에 와서 산문 정신이 가미되면서 서민들의 진솔한 자기 표현을 담아내는 형식으로 차용되었다. 객관적인 사실성이 도입되었고 가사투와 민요 형식이 혼입되었으며 대화가 많고 설화식으로 길어진 것이 특징이다. 내용상으로는 구체적인 이야기와 비유가 대담하게 도입되었고 강렬한 애정을 노래하고 적나라한 자기 폭로를 꾀하였으며 語戱, 재담, 욕설 등이 시어로 채택되었다.
③ 시조창 전아한 전통적인 가곡창과는 다른, 쉬우면서 대중적인 친화력을 가진 창법으로 시조가 불리게 되어 전문적인 가객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게 되었다.
④ 전문 가객 18세기 무렵부터 성행하였고, 출신 성분은 중인보다 낮은 서리 정도의 사람들이 시조를 가곡의 곡조에 얹어 불렀다. 金天澤, 金壽長 등이 유명하다.
⑤ 평민 가단의 형성 조선 전기에는 吟詠을 위주로 하던 시조가 이 시기에 와서는 歌唱을 위주로 변하였는데 이는 활발한 평민 가단의 활동 때문이었다.
㈎ 경정산 가단 김천택을 중심으로 김수장 등이 참여한 가단. 강호가도를 고취하였다.
㈏ 노가재 가단 김수장이 만년에 조직한 가단. 시가의 연구와 기법을 연마하였다.
㈐ 승평계 박효관과 안민영을 중심으로 한 가단

⑵ 가사의 변모 가사는 이 시기에 와서 작자층이 다양화하면서 작품 계열도 여러 방향으로 분화하였다. 주로 현실적인 문제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고 여성 및 평민 작가층이 성장했으며 주제와 표현 양식이 다채로워졌다.
① 朴仁老의 가사 전시대의 정철의 가사난 동시대의 윤선도의 시조에 비해 시어의 구사나 표현의 아름다움에서는 떨어지지만 중후한 문체로 현실의 문제를 인식하는 길을 개척하여 조선 말기 개화기의 개화 가사, 의병 가사 등에 영향을 주었다. [선상탄], [누항사], [태평사] 등
② 내방 가사 주로 영남 지방의 부녀자들에 의해서 지어진 규방 가사로 섬세한 여성들의 희노애락과 接賓客, 奉祭祀하는 예의 범절, 현모양처의 도의 등 부녀의 심정과 생활을 노래하였다. [화전가], [계녀가], [규중행실가] 등
③ 기행 가사 국내 및 외국을 다녀온 견문을 가사로 기록하였다. 김인겸 [일동장유가(일본)], 홍순학 [연행가(중국)] 등
④ 유배 가사 유배의 체험을 기록한 가사. 안조환 [만언사], 김진형 [북천가] 등
⑤ 동학 가사 서양 세력이 동양을 침략하는 데에 대해 깊은 위기감을 느끼고 동학을 알리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최제우 [용담유사] 등



5. 기록 문학의 발달
이 시기의 특징 중 하나가 기록 문학(수필)이 많이 등장했다는 사실이다. 이 시기의 수필들은 일기, 기행, 내간, 평론, 기타의 글들로 분류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한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운문의 투를 벗어나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초기에는 한문으로 된 수필이 많았지만 후기로 오면서 차차 한글로 된 작품이 압도적으로 많아졌으며 민간과 궁중에서 함께 쓰였다.
⑴ 전쟁 체험의 기록 이순신 [난중일기] , 유성룡 [징비록] 등
⑵ 국내외 여행의 견문 기록 홍대용 [을병연행록], [의유당 관북유람일기] 등
⑶ 궁중 기록 문학 [계축일기], 혜경궁 홍씨 [한중록], [인현왕후전] 등

ㅡ 계속 ㅡ
 

추천2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은영님의 댓글

이은영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고백컨데
아침이라 대충만 훑어보았습니다.
모레 쯤 시간 나면 정식으로 읽고 공부하겠습니다. ^^*
사모님도 공부 안하시면 혼내키시는 것 같아서,
공부 안하면 혼내키실까봐서요...
전, 혼내는 사람 무지 무서워하거든요? ^^*
일본은 요즘 춥지 않나요?
서울은 너무너무 춥습니다.
추운 오늘도 두 분 행복하게 지내시길요... ^^*

김영배님의 댓글

김영배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목원진시인님 고전문학에대해서 대단히 연구많이하섰습니다
다음에 책으로 내시던지 시집에 한번 올려놓시면 좋겠습니다
공부점 열심히 할려고합니다....처용가. 청산별곡 .가시리 .정읍사 같은것은 학창시절에 많이읽고
공부하였 던 생각이 납니다..존경스럽습니다...감사합니다...

최경용님의 댓글

최경용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정성으로 수고하여 주심에 감사드리며
숙독 하여 봅니다

목원진님의 댓글

목원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은영 작가님!
김영배 시인님!
김화순 시인님!
朴明春 시인님!
최경용 시인님!
금동건 시인님!

들리시어 같이 참고로 하여 주시는 마음에
힘을 얻어 다음 몇 차례 올리기로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533건 1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533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80 2008-05-23 8
532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43 2008-11-17 6
531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76 2007-01-31 13
530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74 2007-12-14 3
52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4 2006-11-23 0
52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6 2007-07-25 4
527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 2008-09-13 2
열람중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94 2007-02-02 2
52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1 2007-08-13 11
52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2 2007-07-27 3
523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2 2006-08-25 0
522
김장과 삼겹살 댓글+ 11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7 2008-11-11 5
521
뙤약볕 아래 꽃 댓글+ 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0 2007-07-30 4
520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7 2007-03-01 3
51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7 2008-09-13 8
51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6 2008-07-04 5
517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6 2007-05-21 5
51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2 2008-08-20 3
51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2 2007-05-28 7
51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43 2007-07-01 2
513
일본판 직불금 댓글+ 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7 2008-11-03 4
512
사방팔방으로 댓글+ 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 2007-08-07 3
511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90 2007-02-05 5
510
가을이 오면 댓글+ 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80 2007-07-26 3
50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6 2007-05-30 7
50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4 2007-07-10 11
507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6 2007-06-22 5
50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6 2007-07-13 9
505
이름 모른 풀꽃 댓글+ 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63 2007-06-23 5
50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4 2007-06-29 4
503
한 알의 밀알 댓글+ 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42 2007-07-31 3
502
나팔꽃 댓글+ 2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8 2007-07-23 3
501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0 2007-05-23 4
500
흰 비둘기 댓글+ 10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6 2007-01-23 0
499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4 2007-06-05 3
49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22 2007-06-20 3
497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5 2007-06-21 3
49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 2007-07-23 3
49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8 2007-07-09 5
494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8 2007-07-28 5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