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씨븐너물할매

페이지 정보

작성자 :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3건 조회 1,903회 작성일 2014-10-19 13:42

본문

<씨븐너물할매>
 
                                                        김혜련
 
삶의 플러그를 몽땅 뽑아버리고 싶은 날이면
순천 중앙시장 뒷골목 곱창집 앞에서
30년째 푸성귀를 파는 씨븐너물할매를 만나러 가라.
 
씀바귀, 쑥부쟁이, 돌미나리, 돌나물, 원추리, 취나물을
함지박마다 수북이 담아놓고 파는
손톱 밑에 까만 흙먼지가
고생대 지층을 이룬 씨븐너물할매의 손을 잡아 보라.
 
황사도 폭염도 서리바람도 눈보라도 아랑곳하지 않고
뚝방마을에서 새벽차를 타고 푸성귀를 내오는
할매의 거북등짝 닮은 손을 잡으면
그토록 절박하게만 느껴지던 고통스런 내 삶의 살점들이
한낱 정신적 사치로만 느껴져
훔치던 눈물을 대충 감추고
도망치듯 돌아온다.
 
* 씨븐너물할매 : ‘쓴 나물 할머니’라는 의미의 사투리. ‘쓴 나물’은 ‘씀바귀’를 가리킨다.
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김석범님의 댓글

no_profile 김석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쑵은(쓴) 나물처럼 인간의 고뇌도 틀림없이 그리 쓰디쓸 것입니다
저 할매는 나물이라는 여러가지 인간의 생과 관련된 고뇌와 번뇌들을
전시하고 팔면서 어쩌면 우리들에게 삶의 지표를 제시해주는 것 같네요 ..
-감사합니다

정경숙님의 댓글

no_profile 정경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사람만 고해속의 삶 살아가는 줄 알았던이
푸성귀 같은 쓴 나물에도 인간들과 같은 번민들 안고
있음을 또한번 느껴 봅니다
입에 쓴 것이 약이라 하신  선조들 지혜의 가르침
또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고맙습니다

김혜련님의 댓글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김석범 님, 정경숙 님, 소중한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할머니의 가뭄에 지친 논바닥처럼 갈라지고 까맣게 삶의 고통과 때가 묻은 손이 지금 이 순간도 눈앞에 선합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69건 2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229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1 2023-03-20 0
228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6 2023-12-22 0
227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1 2011-04-26 0
226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8 2012-02-21 0
225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60 2013-05-27 0
224
억새풀 댓글+ 4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71 2014-04-13 0
223
고장 난 냉장고 댓글+ 3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4 2015-07-29 0
222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87 2016-11-17 0
221
가을 댓글+ 3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8 2017-09-19 0
220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14 2018-07-26 0
219
참게 댓글+ 5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9 2019-01-13 0
218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54 2022-08-26 0
217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02 2023-04-29 0
216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6 2023-12-26 0
215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49 2011-04-26 0
214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 2012-02-23 0
213
고향집 댓글+ 4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62 2013-05-27 0
212
손바닥선인장 댓글+ 4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9 2014-04-13 0
211
백일홍 댓글+ 3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26 2015-07-29 0
210
요절한 가을 댓글+ 5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07 2016-11-17 0
209
겨울 아침 댓글+ 8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62 2017-10-19 0
208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09 2018-07-26 0
207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71 2022-09-20 0
206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1 2023-05-03 0
205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86 2023-12-26 0
204
구두 댓글+ 2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93 2011-06-13 0
203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39 2012-02-23 0
202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 2013-06-10 0
201
아버지의 구두 댓글+ 4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 2014-05-23 0
200
민달팽이 댓글+ 3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86 2015-08-02 0
199
화장장에서 댓글+ 5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3 2016-11-17 0
198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9 2018-07-26 0
197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7 2022-09-21 0
196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82 2023-05-04 0
195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8 01-19 0
194
나이 댓글+ 2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94 2011-06-13 0
193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52 2012-02-29 0
192
먼지 댓글+ 4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58 2013-06-10 0
191
포맷 댓글+ 2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39 2014-06-15 0
190
의성어 아파트 댓글+ 3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61 2015-08-02 0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