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시사문단 아카데미 2007년1월2일 ..도창회 회장님 특강. 문학의 본질2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5건 조회 1,204회 작성일 2007-01-03 15:34

본문

  도창회 선생 특강

                                2007년1월2일 7시ㅡ9시

강의제목 :문학의 본질 2

1. 文學은 왜 하는가 ? 왜 ,이유 효용 쓸모
文學의 效用(use) (문학의 효용)
왜 시를 쓰는가, 왜 수필을 쓰는가. 왜 소설을 쓰는가?

2. 文人의使命 (문인의사명)
1) 가치 있는 체험의 기록 :
* 가치있는 추구 사회적으로 봐서 가치가 있는것과 없는것
* 판별.가치있는 것은 사용하고 가치가 없는 것은 버린다 .
* 文學의 정신이란? 체험한 것을 기록하는 것이다.
예제: 정서.지식.사상.학문.철학

2) 情緖純化(정서순화) 반대는 정서불안 이세상에 가장 무서운 것은 무식이다.
정서를 순화하는 사람이 문인이다
역사에서 가장 가운데 길 (本道) 중앙길 다른말로 "문인이라" 함
 (정서를 순화 시키기 때문에)
.側道(측도 )옆길은 문인이 아니다.
.문학의 효용 종교의 문학의 효용 돈이 안 벌리면 문학이 아니다
종교가치.문학 가치 똑 같다
.세계의 고전 두 질이 있다
.Great Classics 위대한 고전 중에서 1/2 이상이 문인 작품이다(문학)
세익스피어, 톨스토이.괴에테
.50질 안에 반 이상이 문학 작품이다. (정서순화)

*정서란 무엇인가 :
어떤 사물이나 형상에 대하여 느끼는 여러가지 감정을 말한다
I. Inotiona,l feeling, mood 가 있어야 한다
(감정,분위기 ,정서 )
.정서가 불안한 사람은 음악을 듣고, 그림을 보고. 시를 보고
정서 순화를 시켜야 한다
.인류역사가 존재! 하려면 정서 순화가 되어야 하고
.인류가 존 속 하려면 정서순화가 으뜸 이어야 한다
이것을 위하여 문학 작품이 존재 한다
.괴테. 섹스피어의 작품에는 인생이 들어 있다
 그래서 글을 읽고. 잠을 이룰 수가 없다
.왜냐하면 정서가 순화되기 때문에
.이광수(무정). 도창회(밤배)등을 읽으면 눈물이 난다
.작품 속에 인생이 들어 있어서 작품을 읽으면
정서 순화가 되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3. 문학의 機能(CULTURE FUCTION) 이란 :
1. 敎訓的機能(교훈적기능) 가치추구
.고전주의 18세기 교훈적인글 (옳고 그름을 판단)
그대로 가져다 옮겨적은 글
영국시인: 알렉산더퍽프 "어린이는 어른의 아버지 "

2. 快樂的機能(쾌락적기능). 유희적기능.
.어떻게 즐겁게 글을 써야 하는가 .즐거움이 있?! 杵? 한다
.쾌락성ㅡ시, 소설을 쓸때 창작을 쓸 때 소설 작법을 쓸때
머리에 늘 염두해 두고 글을 써라
.美人적인형상화(시,소설.수필 아름답게 즐겁게 쓰는 것)

. 서정주ㅡ 麝香(사향)쾌락주의 사슴의 배꼽에서 나는 향 박하사탕 냄새가 난다고 표현 .
화사(꽃뱀) 표현방법이 감각적인 것
.교훈 ㅡ진리 쓸때는 즐겁게 느끼도록 써야한다
.文學의 2대기능 (Fuction)ㅡ효용과 같다
효용은 기능(use)과 관계가 있다

4. 詩의 장르
시의특성 : 함축, 은유(상징)리듬, 사상(주제성)테마라고도 한다
文學의장르

1) 韻文(운문)verse
詩(시)Poem: 함축성을 가져라
詩調(시조): 그 시대의 흐름을 적은글

2) 散文(산문) pose
小設 (소 설)Fiction
隨筆(수필)Essay
戱曲 (희곡)Drama

서양은 4대장르 (시.소설.수필.희곡)
.동양은 5대장르 (시,시조,소설,수필,희곡)
.운문작가ㅡverse작가
.산문작가 ㅡprose작가

.소설의 아버지 :필링 (톰소여의모험작가)
.현대수필의 아버지 (렘)
.매년 7월15일 수필의 날로 정함 (도창회 )

시의특성
함축성, 음악성(리듬), 상징성, (암시성), 주제성(지시성)
.함축성: 말은 언어를 견제하고 쓰는 것 시어 선택을 잘하라(내용과 뜻)
.암시성: 속으로 지녀서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것
.안으로 깐다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속에 지니고 있는 아름다움( 깊은 뜻)
예제) 간밤에 내리는 하얀 눈, 커다란 구두 발자욱이 났다
아침! 에 일어나 보니 앞산에 꽃등이 걸렸다
(내용 :여자ㅡ남자 .섹스)
.비유 할 줄 아는것 ,직설적이지 않은것
.상상화(사실,암시.상징을 3단계라한다)

.메타포(이미지) 수단(방법)
.메타포에는 48가지가 있다 이건 다음에 배우고..
.쓸때는 (존재론:해학을 할 때는 감춤의미 ) 첫 단추을 잘 끼워야
마지막 단추가 잘 맞추어 진다. 이것은 부부간의 만남을 상징적으로 표현

음악성: 리듬,운율.운 (meter) 강,약,강약,강강약..리듬
( 리듬이 없으면 시가 아니다)

.잘 쓰는 시는 리드미칼 해야 한다 .술술 잘 넘어가는 시
.미국의 작가 에드가알렌포우의 " 에너벨리"가 그 예라 하겠다

주제성:(지시성 )영어로 테마 theme라한다
예제) 서정주의 국화옆에서 .
봄부터 서쪽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
저 노란 꽃잎이 피려고 간밤에 무서리는 그리 내리고..
(시의 산고를 나타내고, 생명의 귀중함을 담은글)
.서정주 시인은 생명파 시인
.생명파 시인이란 생명의 존귀함을  글로 나타낸 시인

* 다음숙제: 자작시를 가지고 시의 구상에 대해서 연구하고 오세요
 다같이 연구한 것을 가지고"시의 구성에 "대해서 강의 예정

수고하셨습니다.
- 끝 - 
 
추천1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손근호님의 댓글

no_profile 손근호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수정이 된 듯 합니다.
시사문단 1월호가 출간 되어, 발송 한다고, 어제 아카데미 동영상등 아직 만들지 못했습니다. 수고노고 많으셨습니다.
정말 햇빛과 소금같은 정성입니다.

현항석님의 댓글

현항석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장윤숙 시인님!
정말 고맙습니다.
가고 싶었는데 못 가서 아쉬웠는데......
강의노트를 참고삼아 동영상으로 열심히 배우렵니다, 감사드려요!

장윤숙님의 댓글

장윤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빈 여백에  제가 올린 글이(감기가걸렸는지)
지그잭으로 아우성을 처서 .. ㅎㅎ혼났 네요^^
다행히 빠른 쾌유로 온전케 됨을 감사드립니다.
먼저 읽으신 박태원 시인님 죄송했습니다.
서브 노트가 불완전 하더라도 동영상 보시면서 참고하세요^^

정해영님의 댓글

정해영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강의 노트를 이렇게 정성들여 올려주셔서 고맙기 짝이 없습니다.
수고에 대한 보답으로 장시인님께서 매일같이 즐겁고 신나는 일들만 생기도록 내친구 산신령에게 특별히 부탁해 놓겠습니다. ^^

장윤숙님의 댓글

장윤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네^^ 감사합니다. 눈이 펑펑내리는 날 시인님의 친구 산신령님은 추워서 어쩔까요 ㅎㅎ
고맙고 감사한 마음 내려주시니 아마도 올한해 산신령님의 도움으로 좋은 일들만 가득 쌓일 것 같습니다.
누군가에게 참 좋은 선한 가슴으로 품어져 나오는  덕담은 좋은 바이러스가 번져나가 기분좋은 환경을 만들기도 한답니다.
펑펑 눈 내리는 날  정해영시인님께서도 행복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179건 3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99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07-02-26 3
98
이쁜 여인 댓글+ 10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121 2007-02-24 1
97
이야기 꽃 댓글+ 10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7 2007-02-23 5
96
무지랭이 사랑 댓글+ 8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63 2007-02-20 0
95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7 2007-02-17 9
94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2007-02-15 4
93
봄비의 연가 댓글+ 13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0 2007-02-15 8
92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2007-02-13 2
91
행복한 미소 댓글+ 7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 2007-02-11 6
90
고요 댓글+ 12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8 2007-02-10 4
89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92 2007-02-09 4
88
기도의 향기 댓글+ 1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007-02-07 2
87
사랑초 댓글+ 8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47 2007-02-05 16
86
그리움 댓글+ 13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25 2007-01-31 4
85
그대와 나 댓글+ 8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76 2007-01-29 3
84
뽈뜨그리 댓글+ 11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5 2007-01-27 3
83
매화엽서 댓글+ 10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44 2007-01-26 3
82
꿈꾸는 애벌레 댓글+ 11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62 2007-01-25 4
81
올인 2 댓글+ 10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83 2007-01-24 6
80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07-01-24 3
79
명상의 숲 댓글+ 12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98 2007-01-23 6
78
그대의 음성 댓글+ 14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2007-01-21 2
77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99 2007-01-20 1
76
맑은 사랑은 댓글+ 7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007-01-18 7
75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2 2007-01-16 3
74
허깨비의 하루 댓글+ 9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007-01-15 2
73
그대 생각 댓글+ 4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2007-01-11 2
72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57 2007-01-10 4
71
황홀한 고백 댓글+ 8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0 2007-01-09 5
70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2007-01-06 4
69
동백꽃의 사랑 댓글+ 6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2007-01-05 6
열람중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 2007-01-03 1
67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0 2007-01-02 3
66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8 2007-01-01 0
65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2006-12-31 4
64
작별 댓글+ 8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2 2006-12-30 2
63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61 2006-12-29 2
62
행복으로 초대 댓글+ 7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5 2006-12-28 2
61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9 2006-12-27 2
60
온종일 댓글+ 7
장윤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3 2006-12-26 2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