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김철수 시인의 <하늘까지 울리는 날> 출간 및 출간식 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5건 조회 3,358회 작성일 2011-07-19 10:15

본문






기사바로보기

http://media.daum.net/press/view.html?cateid=1065&newsid=20110719160830750&p=newswire

끊임없이 공부하는 김철수 시인 시집 ‘하늘까지 울리는 날’ 출간

뉴스와이어 | 입력 2011.07.19 16:08

 

(서울=뉴스와이어) 월간 시사문단에 시로 데뷔한 김철수 시인(1965년 경남 거제 출생)이 그의 첫 시집 "하늘까지 울리는 날"을 그림과책에서 출간하였다.

김철수 시인은 끊임없이 공부를 하는 시인이다. 경남 창신대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 사이버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나오고 현재 동아대대학원 문예학부 석사과정 재학 중에 있을 만큼 늘 목마른 문학의 갈증을 학업을 통해서 채우고, 그리고 스폰지처럼 꾹 짜서 한 편 한 편 시를 쓰고 있다 한다.

그의 시의 근간은 이 세상이 사랑으로 시작하여 사랑으로 끝나야 한다는 삶의 아름다움을 시적으로 승화시켰다 하겠다. 현재 경남도민일보와 경남일보 칼럼니스트로서 활동하고 있는 김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시를 쓸 수 있는 가슴을 가져서 행복하다. 살아가는 순간이 버거워 흐느낄 때도 삶을 포기할 수 없음은 심장을 뜨겁게 달구는 사랑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이번 시집에 대한 마음을 전했다.

이번 시집에선 황금찬 시인이 김 시인의 서문을 썼는데 "김철수 시인은 삶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으면서도 예술성을 견지함으로써 시의 시다움을 잘 드러내는 시인이라 하겠다. 그의 시는 자연 발생적인 정감에 바탕을 둠으로써 한국인의 보편적 심서에 밀착하면서도, 생각하는 시로서의 존재론적 측면과 형이상학적 요소를 강하게 지님으로써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리라 기대된다"라고 평했다.

시집해설에는 박효석(시인, 경찰대 국문과 교수)가 했는데 해설에서 "시인이 고독하다는 것은 시를 쓸 수밖에 없는 숙명일 것이고 그렇기에 시를 쓰지 않고는 살아갈 가치를 못 느끼며 못 견디는 것이다. 이는 현실을 도피하기 위함이 아니라 극복하기 위한 시인의 자기 성찰이라 하겠다. 그래서 시인은 호흡하듯 시를 갈구하는 것이다. 불쑥 튀어나온 종기 같은 상처를 통하여 외로운 사람들이 보이는 섬 같은 세상, 그리하여 시인은 거짓이 진실이 되어버린 진실이 거짓으로 강요당하는 고독한 세상에서 오늘도 삶의 시를 쓰고 있는 것이다. 부조리한 현실과 인간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탐구를 통해 진정한 자아를 발견함으로써 자유의 본질로 한 걸음 더 나아가려는 시인의 절실한 노력이 보인다"라고 했다.

김철수 시인은 빈여백동인과 물목 동인으로 활동 중이며, 현재 효음종합학원 원장으로 재직중이다. 한편 7월 23일 토요일 경남 통영시 용남 법원 옆 '데바수스'에서 오후 6시 출판기념식이 있다.

문의전화:02-720-9875/2987

섬 (전문)

외롭다고 느껴질

때가 있었다

견디다 못해

불쑥 튀어나온

종기 같은 상처

사람들이 보인다

외로운 사람들이 보인다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

추천0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변정임님의 댓글

변정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어제 낭송모임으로 문단에서 마음으로 보듬어 낳으신 시집을 보았습니다.
바다 냄새가 물신 풍기는 고향인 그들을 받고 얼마나 좋았는지 모릅니다.
멀어서 참석은 못하지만 멋진 출판일이 될 것 같습니다.
아직 새내기지만 한 곳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것이 이리도 행복한 줄 몰랐답니다.
선생님, 진심으로 축하 합니다.
고맙습니다.

김철수님의 댓글

김철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한편의 시를 쓰기 위해서는 살아가는 삶의 순간을 시간이 멈춰진 듯 바라볼 때가 있습니다 .
돌이켜보면 모두가 귀하고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우리는 너무나 쉽게 망각하며 살아가고 있지는 않은지?
항상 스쳐지나가는 사람들, 매일 만나는 그 자리마다 하나씩 마음의 눈에 새기어
새롭게 태어나는 기쁨을 누리며 살아가는 삶이 되고 되었으면 합니다.
동양의 나폴리 통영(예향의도시) 꼭 한번 오십시요.
변정임시인님 김남희시인님 축하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장운기님의 댓글

장운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김철수 시인의 첫 시집 하늘까지 울리는 날 출간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이제 첫 시집으로 인한 독자들과의 만남이 시작 되었으니
더 넓고 더 높은 나래의 장이 펼처질 것 입니다
다시한번 첫 시집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김철수님의 댓글

김철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축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처음''첫'이란 참 많은 의미와 마음이 더 진하게 느껴집니다.
독자들과 맘을 같이 나눌수 있다는 것만도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좋기도 하지만 책임도 따르는 것 같습니다.
날마다 기를 불어 넣어 봅니다
누군가에게 힘과 용기 또 위로 ......  ㅎ
더 힘을 받아서 날아 보고자 노력하고 노력 하려고 애를 써 봅니다.
더 멀리 높이 날수 있도록 기도 해 주십시요^^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1,441건 453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3361
노년예찬 댓글+ 2
탁여송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27 2011-06-30 0
3360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72 2011-06-30 0
3359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03 2011-06-30 0
3358
일상탈출 댓글+ 4
김철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0 2011-07-01 0
3357 no_profile 편집부-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23 2011-07-01 0
3356
격동하는 오산 댓글+ 4
박효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86 2011-07-03 0
3355 김혜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598 2023-02-13 0
3354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28 2011-07-04 0
3353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38 2011-07-04 0
3352
초대 댓글+ 3
조선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8 2011-07-05 0
3351 문정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40 2011-07-05 0
3350
성유 굴에 흔적 댓글+ 1
김영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62 2011-07-05 0
3349 현항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74 2011-07-06 0
3348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035 2011-07-06 0
3347 금동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41 2011-07-06 0
3346 김철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9 2011-07-07 0
3345 장정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9 2011-07-07 0
3344 신의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31 2011-07-08 0
3343 김현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34 2011-07-08 0
3342
7월의 고백 댓글+ 2
김남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9 2011-07-10 0
3341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795 2011-07-11 0
3340
아이들아 댓글+ 2
이묘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82 2011-07-11 0
3339 현항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34 2011-07-11 0
3338
폭우暴雨 댓글+ 1
윤기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38 2011-07-11 0
3337 박효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5 2011-07-12 0
3336
바람 댓글+ 1
김성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63 2011-07-12 0
3335
은어 댓글+ 1
형우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57 2011-07-13 0
3334 김남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64 2011-07-13 0
3333 김철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1 2011-07-13 0
3332
청자 속으로 댓글+ 1
조윤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29 2011-07-14 0
3331 이묘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76 2011-07-15 0
3330 김화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13 2011-07-15 0
3329 김철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79 2011-07-16 0
3328
무언의 능소화 댓글+ 2
변정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94 2011-07-17 0
3327
독도의 고백 댓글+ 2
변정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7 2011-07-17 0
3326 조윤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1 2011-07-18 0
3325 김철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34 2011-07-18 0
열람중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359 2011-07-19 0
3323 no_profile 시사문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884 2011-07-19 0
3322 현항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99 2011-07-21 0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