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오일장 아저씨

페이지 정보

작성자 :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5건 조회 1,045회 작성일 2008-01-18 07:51

본문

오일장 아저씨
 
 
康 城 / 목원진
 
 
머릿수건 동여매고
 
허리에 지갑 차고
 
한 손에 굴비 들어
 
걸음 반 뜀 반 헐떡이면서
 
이 얼굴 저 얼굴에 "잘돼? 잘 있어?"
 
 
"야 경기 좋구나."
 
큰소리 질러
 
여기저기서 쳐다본다.
 
 
바람 불면 부는 대로
 
눈이 오면 오는 대로
 
굴비 줄지어 돗자리에 펼쳐
 
오가는 행인을 부른다.
 
"싱싱하고 맛있는 굴비입니다."
 
 
"보세요 눈동자 옥같이 검고
 
살은 탄탄하여 처녀 살결 같고,"
 
지나가는 노인이,
 
"에잇 여보시오,
 
고기가 어찌 사람 같소? "하니
 
 
"거짓말 아닙니다.
 
사고 가서 먹어 보세요.
 
정말로 기막히게 맛있는 걸요."
 
 
옆 사람 웃고 손님 웃고
 
모두 껄껄 데며 웃는다.
 
굴비 다 팔아 장사 끝 네
 
 
옆집 친구 손 잡고
 
저 친구에 손 저으며
 
다음 장에 다시 보세
 
콧노래 불으며 돌아간다.
추천6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이월란님의 댓글

이월란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굴비 한 두름, 두 두름.... 금빛의 엮인 줄 사이로 은빛의 굴비가 이쁘게도 죽어있네요..

*< 굴비유래 >*

고려시대 권신 이 자겸이 처음으로 굴비를 선물한 사람이다.
예종과 인종 2대에 걸쳐 딸을 왕비로 만들어 권세를 부렸던 이 자겸은 왕을 독살하려다 영광으로 유배 됐다.
그곳에서 처음 굴비를 먹어봤는데 맛이 기가 막혔다. 돌아앉은 시앗이 돌아오고 송장이 된 시어미가 벌떡 일어선다는 영광 굴비가 아닌가.
그는 바로 왕에게 굴비를 진상했다. 재기의 기회라 생각했을 터다.
자존심은 있었던지 그 이름을 “굽히지 않는다”는 뜻으로 굴비(屈非)라 지었다고 한다.
이 자겸은 귀양살이에서 풀려나지 못하고 유배지에서 죽었지만 이후 영광 굴비는 궁중 진상품이 되었다.
조선시대로 넘어 오면서 굴비는 국민적 음식이 되었다.
순조 때 실학자 서 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굴비를 나라 안에서 귀천 할 것 없이 고루 먹으며 가장 맛있는 해물로 묘사 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영광 굴비는 온 국민의 사랑을 한 몸에 받는 귀한 존재가 되었다. 


*< 굴비에 대한 일화로 >*

훌륭한 성품으로 높은 벼슬에 오른 선비가 있었다.
그는 굴비를 아주 좋아 했다.
어느 날 젊은 유생 하나가 굴비를 싸들고 찾아와 청탁을 했다.
하지만 선비는 굴비를 받지 않았다. 이튿날과 그 다음날에도 유생이 찾아갔지만 선비는 굴비 선물을 거절 했다. 이유를 묻는 유생에게 선비가 말했다.
“ 자네 굴비를 받았다가 벼슬자리에서 쫓겨나면 나는 가난해질 텐데 그러면 나는 다시는 굴비를 먹을 수 없지 않겠는가.”
군침 도는 굴비 한 상자가 자신은 물론 젊은 유생까지 망칠 수 있다는 사실을 선비는 알고 있었던 것 이다. “공짜로 받은 선물만큼 비싼 것이 없다.”

정유성님의 댓글

정유성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도 시장에서 장사하는 사람이라 장사치의 때가 많이 묻었지요.^^*
시장은 참 인간미 넘치는 것 같습니다.
가지가지 손님의 성향을 맞추려면 성격이 참 둥그러야 한답니다.
나와 맞지 않은 손님이라도 장사치는 물건을 팔아야 하는 것이 운명이기에...^^*

이은영님의 댓글

이은영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목원진 시인님의 오일장 詩語에다
이월란 시인님의 굴비 풀이까지 보태고 나니,
군침이 살그머니 돌고 있답니다.
두 분 책임지시와요. ㅎ~~ ^^*

이순섭님의 댓글

이순섭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주에 살 때 휴일이면 자주 가던 인간극장과 인간시대가 펼쳐진 오일장 생각이나고
나이드신 쪼그리고 앉아계시는 할머니들 모습이 떠오릅니다. 점점 추워지는 날씨에
감기 조심하시고 건강하시길 기원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1,441건 461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3041
노스텔지어 댓글+ 6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5 2008-01-08 6
3040 김순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6 2008-01-08 6
3039
너를 불렀지 댓글+ 6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13 2008-01-09 6
3038
청바지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1 2008-01-09 6
3037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 2008-01-10 6
3036
하루 댓글+ 6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5 2008-01-10 6
303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8-01-11 6
3034
흔적 댓글+ 7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9 2008-01-12 6
3033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008-01-13 6
3032 no_profile 김석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8 2008-01-13 6
3031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5 2008-01-15 6
3030
기차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7 2008-01-15 6
3029
모닥불 댓글+ 5
김순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6 2008-01-16 6
302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7 2008-01-16 6
3027
엿장수의 아들 댓글+ 5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0 2008-01-18 6
열람중
오일장 아저씨 댓글+ 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6 2008-01-18 6
3025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2 2008-01-18 6
3024 김옥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1 2008-01-19 6
3023 최승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5 2008-01-22 6
3022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8 2008-01-24 6
3021
선인장 댓글+ 7
강현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8 2008-01-25 6
3020 no_profile 편집부-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5 2008-01-25 6
3019
눈(雪) 댓글+ 7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0 2008-01-26 6
3018 박효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008-01-27 6
3017
시로 가는 길 댓글+ 6
이병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5 2008-01-27 6
3016
우정 댓글+ 6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2 2008-01-27 6
301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008-01-28 6
3014
강아지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92 2008-01-28 6
3013
한탁주 댓글+ 6
한미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008-01-29 6
3012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7 2008-01-29 6
3011 김성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6 2008-01-29 6
3010
별자리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9 2008-01-29 6
3009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0 2008-01-29 6
3008
고독 댓글+ 6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0 2008-01-31 6
3007
시작 댓글+ 6
이병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90 2008-01-31 6
3006
겨울 산 댓글+ 7
유철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0 2008-02-01 6
3005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7 2008-02-06 6
3004
설날 / <느낌> 댓글+ 6
오영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59 2008-02-07 6
3003 김성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9 2008-02-08 6
3002
이월의 봄 댓글+ 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8 2008-02-08 6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