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오시는 방법(-클릭-) 회원가입은 이곳으로 클릭++^^ 시작페이지로 이름 제목 내용

환영 합니다.  회원가입 하시면 글쓰기 권한이 주어집니다.

회원 가입하시면 매번 로그인 할 필요 없습니다.

고양이에게 젖 먹이는 여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 댓글 5건 조회 1,638회 작성일 2008-01-24 13:56

본문

고양이에게 젖 먹이는 여자


                                                                                이 월란



서기 이천년 전에 세상이 망한다는 노스트라다무스에게 빠졌던 어린 날
세상이 쫄딱 망하기 전에 아이 하나 낳아보고 싶었네, 나이를 손꼽아 헤아려
다 큰 여자 하나가 되어보고 싶었네, 옛날 옛날 어린 날에
이제

여자가
되어
소원대로 아기를 쑥쑥 낳은 여자, 돈독이 올라
젖 말리는 당의정 씌운 알약을 쵸코볼처럼 주워먹으며
낳은 아이 소가 대신 키웠네
낳은 자랑 말고 젖 먹이는 자랑 하라고 로라박사가 카스테레오 밖으로
침을 튀길 때마다 범법자가 되어 발목이 불끈, 제한속도를 넘어버리는 여자
젖 먹이는 여잘 보면 눈이 뒤집혔네
젖 빠는 아일 빼앗아 소젖을 대신 물려주고
너도 돈독 좀 오르라고 소리치고 싶었네
소젖을 먹고 자란 아이들은 엄마소를 찾아 나가버리고
엄마젖이 그리운 그 아이가 내민 지폐 몇 장에 팔려 온
생후 6주된 아기고양이 한 마리, 저민 빈가슴에 품고 젖을 물리네
고양인 미야오 미야오 <넌 내엄마가 아니야> 소리치는데
서기 이천년이 지나도 세상은 아직 망하지 않았고, 숯등걸 타는 가슴
오늘도 젖은 나오지 않네
                                               
                                                                            2008-01-23
추천6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목원진님의 댓글

목원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젖 하면,
아기에겐 모유가 제일이라 하지만,
안타깝게 풍족히 나오질 않아 牛乳로 성장하는
아기 많은가 봅니다. 보면 덩치 크나, 전염성 질환에는
母乳로 자란 아기에 비해 저항력이 세지 않더군요. 재미있는
<고양이에게 젖 먹이는 여자> 잘 감상하였습니다. 여기 지금 눈이 날립니다.

정유성님의 댓글

정유성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의 제수씨도 젓이 나오지 않아 분유(소젖)을 먹입니다.
하지만 젖이 나온다 하더라도 여자들은 아이 젖 물리기에 인색한 것 같습니다.
사회적인 시스템도 부족하고 아이에게 가장 좋은 모유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것 같습니다.

금양체질과 금음체질, 수음체질은 분유(소젖) 알레르기가 잘 생깁니다.
수음체질은 소화성 알레르기가, 금체질은 동물성단백질 거부에의한 알레르기가 잘 생깁니다.
특히 금양과 수음의 유아 알레르기는 분유에 의한 것이 많지요.
그것은 현미경이나 망원경으로 볼 수 없는, 현재의 과학으로 이해할 수 없는, 슬프게도 오컬트에 속하는 지라
아기 때부터 쌓여져온 언발란스가 결국 커서 큰 내과적 병이 되는 원인을 아직
서양의학은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수음체질과 금체질이 모유가 나오지 않는다면 콩단백질을 추출한 분유를 쓰면 좋습니다.
식물성 단백질인 콩은 거이 모든 체질에게 해로움이 없죠. 영양소의 질도 동물성 단백질에 떨어짐이 없구요.^^*

모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제일 좋다?
이것이 서양의학의 결론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똑같은 음식을 먹고 나서의 반응이 서로 다릅니다.
기름기 많은 것을 먹어야 기운이 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신선한 야채를 먹어야 기운이 나는 사람도 있고
땀을 내야 피로가 풀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땀을 많이 내면 피로해지는 사람이 있는 것입니다.

사람을 한가지로 공통지은 서양의학은 1/4 만 맞는 의학이지요.

한사람의 정확한 분석은...
제가 다음카페 /  8체질&휘트니스 / 카페지기인데
그 안에 감별방이 있어 회원들을 감별해주고 있습니다.

한사람의 특성은?

8체질중 어떤 체질이며
주위환경(몇번째의 형제)

혈액형
별자리를 조합하면
한 사람의 특성과 성향 등이 자연스럽게 풀립니다.

8체질만 가지고 한 사람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지요.
그래서 주위환경과 띠, 혈액형, 별자리(오컬트)를 조합했더니
한 사람의 특성이 꽤 정확히 떨어지더군요.^^*

지금 많은 8체질 학자와 한의사가 과학적으로 감별하는 법을 연구 중이며
현미경과 망원경으로, 눈으로 볼 수 있는 과학, 의학으로 만들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8체질학이 눈에 보이는 과학, 의학이 되는 날
이상향의 처음 문이 열린다고 저는 믿습니다.
그래서 그토록 8체질학에 피미쳤던 거구요.^^*

이제는 12번의 병원입원에서 얻은 8체질의 원리 이해에
더이상 이 학문에 미칠 근거가 없어졌습니다.
이젠 기다림의 미학만 남았군요.^^*

추은 날씨 건강하십시요. 시인님^^*

윤시명님의 댓글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 고양이 참 행복한 고양이네요 ㅎ 저는 님의 맛있는 시를 먹는답니다. 우리가 시를 쓰는 것 세상에 젖을 먹이는 그런 아름다움 아닐까요? 소가 시를 먹으면 육질이 좋아질거고 고양이가 시를 먹으면 정겨운 친구가 될 것이고 사람에게 시를 먹이면
삶의 비타민이 되지 않을까요.^^

전 * 온님의 댓글

전 * 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런  세상이  왜  망하지  않고
오늘도  쌩쌩  돌아 가는지요  ㅎㅎ
나오지도 않는 젖을  고양이는  먹여야 되는 모성이
조금은 미워 지네요.
소젖이나 먹어야 되는 아이는  머리속에 무엇이 자라고 있을까요

강현분님의 댓글

강현분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엄마의 젖을 먹고 자랐던
소젖을 먹고 자랐던 부모의 애틋한 사랑을 느끼고 안다면
그 아이의 성장에 큰 문제는 없을듯 싶네요.
다만 체질에는 영향이 있겠지만.^^
시인님의 고운 시심,엄마의 따뜻한 맘이 이곳까지 전해집니다.^&^
늘 행복하세요~~

빈여백동인 목록

Total 21,441건 461 페이지
빈여백동인 목록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추천
3041
노스텔지어 댓글+ 6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85 2008-01-08 6
3040 김순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6 2008-01-08 6
3039
너를 불렀지 댓글+ 6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14 2008-01-09 6
3038
청바지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01 2008-01-09 6
3037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 2008-01-10 6
3036
하루 댓글+ 6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65 2008-01-10 6
303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89 2008-01-11 6
3034
흔적 댓글+ 7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9 2008-01-12 6
3033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008-01-13 6
3032 no_profile 김석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88 2008-01-13 6
3031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5 2008-01-15 6
3030
기차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7 2008-01-15 6
3029
모닥불 댓글+ 5
김순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96 2008-01-16 6
3028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7 2008-01-16 6
3027
엿장수의 아들 댓글+ 5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60 2008-01-18 6
3026
오일장 아저씨 댓글+ 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46 2008-01-18 6
3025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52 2008-01-18 6
3024 김옥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1 2008-01-19 6
3023 최승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65 2008-01-22 6
열람중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39 2008-01-24 6
3021
선인장 댓글+ 7
강현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8 2008-01-25 6
3020 no_profile 편집부-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55 2008-01-25 6
3019
눈(雪) 댓글+ 7
이월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80 2008-01-26 6
3018 박효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008-01-27 6
3017
시로 가는 길 댓글+ 6
이병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75 2008-01-27 6
3016
우정 댓글+ 6
고윤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2 2008-01-27 6
3015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008-01-28 6
3014
강아지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92 2008-01-28 6
3013
한탁주 댓글+ 6
한미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008-01-29 6
3012 no_profile 윤시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77 2008-01-29 6
3011 김성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6 2008-01-29 6
3010
별자리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79 2008-01-29 6
3009 이순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30 2008-01-29 6
3008
고독 댓글+ 6
이광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830 2008-01-31 6
3007
시작 댓글+ 6
이병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790 2008-01-31 6
3006
겨울 산 댓글+ 7
유철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50 2008-02-01 6
3005
댓글+ 6
정유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17 2008-02-06 6
3004
설날 / <느낌> 댓글+ 6
오영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59 2008-02-07 6
3003 김성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29 2008-02-08 6
3002
이월의 봄 댓글+ 6
목원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38 2008-02-08 6
게시물 검색
 
[02/26] 월간 시사문단…
[08/28] 토요일 베스트…
[07/03] 7월 1일 토…
[04/28] 5윌 신작시 …
[11/09] 2022년 1…
[08/08] 9월 신작 신…
[08/08] 9월 신작 신…
[06/29] -공개- 한국…
[06/10] 2022년 ◇…
[06/10] 2022년 ◇…
 
[12/28] 김영우 시인님…
[12/25] 시사문단 20…
[09/06] 이재록 시인 …
[08/08] 이번 생은 망…
[07/21] -이번 생은 …
 
월간 시사문단   정기간행물등록번호 마포,라00597   (03924) 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4길 17 사보이시티디엠씨 821호   전화 02-720-9875/2987   오시는 방법(-클릭-)
도서출판 그림과책 / 책공장 / 고양시녹음스튜디오   (10500) 고양시 덕양구 백양로 65 동도센트리움 1105호   오시는 방법(-클릭-)   munhak@sisamundan.co.kr
계좌번호 087-034702-02-012  기업은행(손호/작가명 손근호) 정기구독안내(클릭) Copyright(c) 2000~2024 시사문단(그림과책). All Rights Reserved.